
평면과 입체가 만나는 색의 세계한국 전통 예술에서 색은 단순한 시각적 요소를 넘어, 문화적 상징과 철학적 의미를 담아낸 언어였습니다. 채색화와 목공예 채색은 서로 다른 매체 위에서 색을 구현하지만, 공통적으로 오방색을 비롯한 전통 색채 체계를 바탕으로 제작됩니다.채색화는 종이와 비단 위에 안료를 얹어 서정적인 장면과 상징을 표현하고, 목공예 채색은 나무 표면에 색을 입혀 실용성과 장식성을 동시에 구현합니다. 목가구, 목불상, 목함, 목제 장식품 등은 채색과 문양을 통해 사용자의 지위, 취향, 그리고 염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재료와 발색 방식의 차이채색화의 색은 주로 광물성·식물성 안료를 아교와 섞어 종이나 비단에 얇게 칠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종이 위에서는 색이 은은하게 번지고, 비단에서는 섬유 결..